반응형

라즈비안에서 MonoDevelop 을 깔고 Run을 하면 진행이 되지 않는다...

나만 그런건지 잘 모르겠지만

Cannot execute "/home/pi/....." File name has net been set

이런 식으로 에러가 나는데

도저히 뭐 이건 뭐.. 한글 자료는 없더군....


까막눈으로 열심히 자료를 찾다가 영상하나를 발견해서 답을 얻었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EWcYdQmDA3o


위의 사진 처럼 Ctrl + F5 / F5 로 런을 하게 되면 에러가 난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우선 MonoDevelop 창을 닫고 xterm 을 설치해주면 된다.


sudo apt-get install xterm


Y를 누르고 엔터를 치면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끝나면 Mono를 실행하여 Run을 해보면



매우 잘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ETC > R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 카메라 사용법  (0) 2016.09.27
라즈베리파이 개발 환경(monodevelop)  (0) 2016.09.27
라즈베리파이 구매 및 개봉  (0) 2016.09.26
반응형

사진을 이용해서 연산을 하는 것을 해보아야 하는데

아직.. 개발에 필요한 카메라 구입이 되어 있지 않고,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는 파이 카메라뿐

카메라가 오기 전까지 파이 카메라를 가지고 놀면서 라즈베리파이와 친해지도록 해보자.


우선 연결을 해야 하는데


파이 카메라를 빨간 박스에 잘 꽂으면 된다. 



그 다음에는 파이카메라 기능 활성화를 시켜준다.





위의 순서대로 하면 되는데 조금씩 말이 다를 수도 있다.

이미지를 한번 캠처해 보자.


5초뒤에 이미지가 생성된다.


사진이 매우 깔끔하게 찍힌 것을 볼 수 있다. 
나의 지저분한 회사 책상이 찍혔다. 



이건 비디오찍는것.. 5초동안










반응형
반응형

어떤 언어를 사용할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혹시나.. C#을 쓸까 하는 마음에 개발 환경을 설정해 보자앗.


Visual Studio 를 설치 할 수 없으므로 그보다 가볍고 리눅스에서도 설치 가능한

mono develop 을 설치 해보자


설치 방법은 매우 간단..


우선 라즈비안을 업데이트 해보자.




업데이트와 업그레이드를 해준다.


그리고 나서 monodevelop 을 설치하면 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메뉴>개발 에 가보면 MonoDocumentation/MonoDevelop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카메라 관련 개발을 하게 되었다.

음.. 카메라라기 보다 흑백 이미지 관련 개발이라고 해야 하나 ?


그래서 구입. 

구입 목록 : 라즈베리파이3 모델B, 파이 카메라, 파워, HDMI 케이블, MicroSD 32G



우선 박스에 담긴 제품들

하나씩 개봉을 해봅시다.


우선 라즈베리파이3 모델B(모델 A와 B는 차이가 있다고...)개봉

세트로 구매를 하니까 방열판까지 주엇다. 뒤에 양면테이프로 되어 있어 부착이 쉽다.


이거슨 파이 카메라!!!

생각보다 너무 작아서 놀랐다. 렌즈 크기는 휴대폰카메라정도의 크기 ?

모듈의 크기는 500원 동전 크기이다.



파워는 일반 5핀 충전기와 동일하다. 

2.5A 




가장먼저 사서 MicroSD 에 라즈비안을 설치하고 부팅을 해보았다.

사진은 안찍어 두엇으나 완전 우분투의 라이트버전 같은 느낌 ?


오늘 저녁쯔음에 개발 환경 설정에 대해 정리를 해야겠다



공식 사이트

https://www.raspberrypi.org/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