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pwd(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작업 디렉토리 표시


2. ls :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 표시


3. cd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변경

절대 경로명 : 루트디렉토리에서 원하는 디렉토리 또는 파일까지의 경로


상대 경로명 : 현재 작업 디렉토리가 시작점.



유용한 단축 표현

cd : 사용자 디렉토리로 이동. "cd ~ "도 같은 기능

cd - : 이전에 작업한 디렉토리로 이동.









반응형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  (0) 2016.10.06
[Linux] ls, file, less  (0) 2016.10.06
[Linux] 간단한 명령어  (0) 2016.10.06
[Ubuntu] 호스트명 변경 (사용자@호스트명)  (0) 2016.10.05
[Linux] OpenCV 설치/삭제  (0) 2016.10.04
반응형
커맨드라인을 우선 공부하기로 했다.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을 하려면 리눅스와 친해져야 할거 같아서(?)


아무튼.. 뭐.. 쉬운거부터 쭉 정리를 해보자앗.



1. date : 현재 시간과 날짜



2. cal : 달력 표시


3. df :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 정보와 사용가능한 디스크의 용량


4. free : 메모리 사용 현황



5. exit : 터미널 종료




반응형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s, file, less  (0) 2016.10.06
[Linux] pwd, cd, ls  (0) 2016.10.06
[Ubuntu] 호스트명 변경 (사용자@호스트명)  (0) 2016.10.05
[Linux] OpenCV 설치/삭제  (0) 2016.10.04
make 유틸리티  (0) 2016.09.30
반응형

리눅스를 기초부터 하기로 했다.

오랜만에 하려니 잘 모르겠네


그런데 설치를 대충 하다 보니까 눈에 거슬리는게 있었다..

바로 호스트명..


처음 호스트명이 VM에 깔다보니까 무진장길었다.

아무도 설치할때 신경을 안쓸듯....... 나만 그런가 ?


아무튼 변경해 보자.


처음에 나오는 모양이

Username@HostName:~$

ubuntu@ubuntu-virture-machine

그렇다 나는 "ubuntu@ubuntu-virture-machine:~$" 로 나와서 터미널이 엄청 지저분했다.


파일 몇개를 수정하고 reboot을 해주면 된다.

1. 우선 /etc/hostname 파일을 수정한다.


원하는 내용으로 설정하고 저장






2. /etc/hosts 변경


hostname과 동일하게 변경 후 저장.


3. 재부팅


위의 과정을 다 마치면 호스트명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pwd, cd, ls  (0) 2016.10.06
[Linux] 간단한 명령어  (0) 2016.10.06
[Linux] OpenCV 설치/삭제  (0) 2016.10.04
make 유틸리티  (0) 2016.09.30
vi 에디터  (0) 2016.09.30
반응형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OpenCV를 사용하게 되었다..


OpenCV가 무엇인가 하니


- 위키백과

OpenCV(Open Computer Vision)은 오픈 소스 컴퓨터 비전 C 라이브러리이다. 원래는 인텔이 개발하였다. 윈도, 리눅스 등의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간 이미지 프로세싱에 중점을 둔 라이브러리이다. 인텔 CPU에서 사용되는 경우 속도의 향상을 볼 수 있는 Intel Performance Primitives (IPP)를 지원한다.


위키에서 위와같이 정의하고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을 편리하게 쓸 수 있는것이다.

필요한 패키지 부터 설치를 해보자.


RaspberryPi 에 설치를 할 것인데 Raspbian은 우분투랑 설치 법이 같다.


1.필요한 패키지 설치

CMake와 G++이 필요 하다고 한다.

g++은 이미 설치되어 있다고 나온다.. 다른 버전은 잘 모르겠다.



2.OpenCV 다운

링크 : http://opencv.org/


링크로 이동하여 최신 버전을 다운받는다.

주의 : 2.X 버전과 3.X 버전이 나뉘니까 확인 잘하고 받으세요

        Download로 이동하면 모든 버전 확인 가능합니다.




압축을 풀고 터미널창에서 압축을 풀은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나같은 경우 경로가 ~/Downloads/opencv-2.4.13 이다.

"~" 물결표는 사용자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이동후 cmake를 한다.


뒤에 점(.)을 안 찍으면 사용법을 아주 친절히 가르쳐주니 점을 꼭 쓰도록..


완료가 되면 위와 같이 나온다.


자.. 이제 cmake까지 되엇다면 make를 할 차례

make는 cmake보다 쉽다.

그냥 sudo make 만 치면 된다.

생각보다 오래 걸린다....



힘겹게 끝냈으니 make install을 해주자..





설치 끝


설치확인을 해보자





삭제도 해보자.. 버전을 잘못설치해서 삭제할 일이 생겼다...

설치 했던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sudo make uninstall 해주면 된다.



삭제 확인은 설치 확인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없다고 나오면 삭제 완료





반응형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간단한 명령어  (0) 2016.10.06
[Ubuntu] 호스트명 변경 (사용자@호스트명)  (0) 2016.10.05
make 유틸리티  (0) 2016.09.30
vi 에디터  (0) 2016.09.30
gdb 기초 사용법 (메모리, 레지스터 내용 읽기)  (0) 2015.09.16
반응형

직접 코드를 짜서 unsafe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쓰는데 

unsafe때문에 자꾸 빌드 에러가 낫다.

그래서 어떻게 사용가능하게 설정하는지 알아보자앗.



우선 Visual Studio가 아닌 monodevelop 만 알아보도록 하자


설정이 안된 상태에서 빌드시 에러 화면을 보면

"Unsafe code requires the `unsafe' command line option to be specified" 에러가 발생한다.

인터넷에 뒤지다 보니 커뮤니티에 질문이 올라와 있는 것을 보고 해결방법을 찾았다.



1. 우선 좌측에서 프로젝트를 클릭

2. Project -> [Project이름] Options 선택







선택을 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고 Build > General >Allow 'unsafe'code 를 체크한 뒤 확인을 누르면 된다.


끝 !






반응형
반응형

라즈베리파이로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서 리눅스를 다시 공부하고 있다.

C#으로 하기위해 monodevelop을 설치했었으나.. 속도가 느린 관계로 

C나 CPP로 코딩을 하기로 했다.


취업전에 공부하던 것을 다시 한번 되새기며 정리를 해보자.


gcc는 뭐 알고 있으니 make부터.. 




1. make 유틸리티 사용

makefile이 필요하다.

makefile이 있는경우 "$ make" 명령으로 자동으로 빌드 과정이 실행되지만, 

이름을 별도로 지정하고 싶다면 '--makefile' 또는 '-f' 옵션을 사용


$ make [--makefile=파일명]


2. makefile 생성

makefile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눈다.

목표, 의존관계, 명령으로 기본적인 규칙들을 정의한다.

targetList :   dependencyList

commandList



main.c



print.c



input.c



gcc로 컴파일할 경우

$gcc -o test main.c print.c input.c


이렇게 쭈욱 적어 주어야 한다.


makefile을 이용할 경우


makefile 내용

test : 

   gcc -o test main.c print.c input.c 

makefile 작성 후 make 명령


$ make


그럼 gcc코드를 친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된다

미리 makefile에 정리해두고 make 명령만 치면 간단하게 컴파일 할 수 있다!



test 결과



gcc로 컴파일




make 유틸리티 사용






반응형
반응형

키 

내용 

비고 

 현재 커서의 앞에서부터 문자 입력

소문자 

현재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줄의 제일 앞부분에서부터 문자를 입력 

대문자 

현재 커서의 뒤에서부터 문자가 입력 

소문자 

현재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줄의 제일 뒷부분에서부터 문자를 입력 

대문자 

현재 커서의 위치에서 다음 줄을 삽입하고 문자를 입력 

소문자 

현재 커서의 위치에서 앞줄을 삽입하고 문자를 입력 

대문자 

현재 커서가 있는 위치부터 기존의 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덮어쓴다 

대문자 

현재 커서가 있는 위치의 한 문자를 새로운 문자로 덮어쓴다 

소문자 


복사와 붙여넣기

키 

내용 

비고 

yy 

현재의 라인을 메모리로 복사 

:y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자를 삭제하고 메모리로 복사한다.

 

메모리에 복사된 내용을 현재의 위치에 붙여 넣는다. 

:pu 


커서 이동

기본적으로 방향키 위,아래,오른,왼 : k(위),j(아래),l(오른),h(왼)

키 

내용 

^ 또는 0 

커서를 현재 줄의 시작위치로 이동 

커서를 현재 줄의 마지막 위치로 이동 

현재의 커서를 한 단어 앞으로 이동 

현재의 커서를 한 단어 뒤로 이동 

Control-D 

반 화면 아래로 이동 

Control-F 

반 화면 위로 이동 

Control-U 

한 화면 아래로 이동 

Control-B 

한 화면 위로 이동 

:nn 또는 nnG 

nn 번째 줄로 이동 



검색

명령 

내용 

/검색할문자열 

현재의 위치에서 문서의 끝방향으로 검색 

?검색할문자열 

현재의 위치에서 문서의 앞방향으로 검색 

n 이나 / 

이전에 검색했던 문자열로 문서의 끝방향으로 다음의 내용을 찾음 

N 이나 ? 

이전에 검색했던 문자열로 문서의 앞방향으로 다음의 내용을 찾음  


vi 설정


 명령

내용 

비고 

:se nu 

문서의 줄 번호를 표시

:set number 

:se nonu 

표시된 줄 번호를 숨긴다 

:set nonumber 

:se ai 

자동 들여쓰기 

:set autoindent, :set noai 

 :se cindent

C언어 스타일의 들여쓰기 

:set nocindent 

:se list 

보이지 않는 특수문자들을 표시 

:se nolist 

:se 

현재 설정한 모든 vi 변수들을 출력 

:set 

:se all 

모든 vi 변수와 현재 값을 출력 

:set all 


저장 및 종료(끝에 느낌표(!)를 붙이면 강제로 진행)

명령 

내용 

비고 

:w [파일명]

인수로 파일명이 있는 경우 해당 파일명으로 저장, 없으면 기존 오픈한 파일에 편집한 내용을 저장 

:w! 

:e 파일명 

새로운 파일을 오픈 

 

:r 파일명 

현재의 내용에 파일명의 내용을 가져와서 제일 마지막줄 이후로 추가 

 

:q 

에디터 종료 

:q! 

:x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고 에디터 종료 

:wq, :ZZ, :x! 











반응형

'ETC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OpenCV 설치/삭제  (0) 2016.10.04
make 유틸리티  (0) 2016.09.30
gdb 기초 사용법 (메모리, 레지스터 내용 읽기)  (0) 2015.09.16
gdb 기초 사용법2(stepi nexti 차이점)  (0) 2015.09.16
gdb 기초 사용법  (0) 2015.09.15
반응형

라즈베리파이에서 프로그램 개발중인데 이게 얼마나 느린지... 를 알기위해 프로그램 진행 시간을 알아야 했다.


방법을 알아보잣.


코드는 매우 심플하다. 

StopWatch Class 를 사용할 것이다.



namespace 는 System.Diagnostics 를 추가해 주고

어느정도 정확한지 알아보기 위해 Sleep 함수를 사용해보았다.


Stopwatch 로 선언 및 할당을 해주고

Start를 메소드를 실행한다.

실행된 순간부터 ElapsedMilliseconds 를 얻어오기 전까지 값을 화면에 표시한다.




결과는 매우 정확하다.









반응형
반응형

라즈비안에서 MonoDevelop 을 깔고 Run을 하면 진행이 되지 않는다...

나만 그런건지 잘 모르겠지만

Cannot execute "/home/pi/....." File name has net been set

이런 식으로 에러가 나는데

도저히 뭐 이건 뭐.. 한글 자료는 없더군....


까막눈으로 열심히 자료를 찾다가 영상하나를 발견해서 답을 얻었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EWcYdQmDA3o


위의 사진 처럼 Ctrl + F5 / F5 로 런을 하게 되면 에러가 난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우선 MonoDevelop 창을 닫고 xterm 을 설치해주면 된다.


sudo apt-get install xterm


Y를 누르고 엔터를 치면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끝나면 Mono를 실행하여 Run을 해보면



매우 잘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응형

'ETC > R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 카메라 사용법  (0) 2016.09.27
라즈베리파이 개발 환경(monodevelop)  (0) 2016.09.27
라즈베리파이 구매 및 개봉  (0) 2016.09.26
반응형

사진을 이용해서 연산을 하는 것을 해보아야 하는데

아직.. 개발에 필요한 카메라 구입이 되어 있지 않고,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는 파이 카메라뿐

카메라가 오기 전까지 파이 카메라를 가지고 놀면서 라즈베리파이와 친해지도록 해보자.


우선 연결을 해야 하는데


파이 카메라를 빨간 박스에 잘 꽂으면 된다. 



그 다음에는 파이카메라 기능 활성화를 시켜준다.





위의 순서대로 하면 되는데 조금씩 말이 다를 수도 있다.

이미지를 한번 캠처해 보자.


5초뒤에 이미지가 생성된다.


사진이 매우 깔끔하게 찍힌 것을 볼 수 있다. 
나의 지저분한 회사 책상이 찍혔다. 



이건 비디오찍는것.. 5초동안










반응형

+ Recent posts